이탈리아 썸네일형 리스트형 시칠리아 왕국 역사 1071년 루지에로 1세는 시칠리아 토후국의 중심지인 팔레르모를 공략한 뒤 시칠리아 백국의 백작을 자처했다. 그는 서유럽 기사와 라틴 성직자들을 시칠리아에 이주하도록 권장하면서도 대다수 인구가 무슬림과 그리스인이고 노르만족은 지독히 소수라는 사실을 무시하지 않았다. 그는 시칠리아를 자신의 통치하에 두기 위해 국가적 및 종교적 관용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아랍어, 그리스어, 라틴어는 공용어로 쓰였고 기존의 법률은 효력을 유지했다. 루지에로는 다섯 개의 새로운 가톨릭 교구를 시칠리아에 세웠다. 그러면서도 종교적 증오를 불러일으키고 싶지 않았기에 가톨릭 선교사들이 시칠리아 무슬림들을 상대로 설교를 금했다. 본래 교회였다가 모스크로 개조된 건물들은 교회로 복원되었으나 새로 지어진 모스크는 유지되었다... 더보기 신성 로마 제국 역사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 대제는 유럽에서의 고대 로마제국의 대부분에 해당되는 지역을 정복 후, 이탈리아로 진격하여 로마교황을 롬바르드족의 공격으로부터 구출해주었다. 그에 대한 보답으로 800년 교황은 샤를마뉴 대제에게 황제의 관을 씌워 주었다. 이리하여 프랑크 왕국은 제국이라 불리게 되었고, 이 제국은 고대 로마제국의 부활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그 후 제국은 독일-프랑스-이탈리아로 삼분할되었으며 이탈리아 지배자가 호칭했던 제호는 얼마 안되어 소멸되었다. 독일에서는 샤를마뉴 대제의 혈통인 카롤링거 왕조가 10세기 초 단절되었고 그 뒤를 계승한 작센 왕조에서 10세기 중엽에 유능한 국왕 오토 1세가 출현하였다. 오토 1세는 밖으로는 마자르인(헝가리인)의 침입을 격퇴하고 국경 부근에 마르크(변경구)를 설정.. 더보기 벨리사리우스 6세기 동로마 제국의 명장으로 뛰어난 전술과 지략, 인품으로 사산 왕조 페르시아와 동고트 왕국과의 전쟁에서 활약한 동로마 제국의 대표 명장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등 전 세계 역사를 통틀어 당대 명장으로 전해지는 인물들과 비견되는 이유는 대략 이와 같다. 정복 지역을 지키기 위해 떼어놓은 수비병을 제외하면 초기에는 단 1만 명의 병력 후기에는 단 수천의 병력으로 그것도 사실상 아무런 지원도 거의 전무한 상황에서 이탈리아, 발칸 반도, 북아프리카와 스페인 남부 지역을 탈환한 것이다. 그렇기에 고대 로마와 동로마 전 역사를 통틀어 손꼽히는 명장으로 칭해진다. 그는 고트계 집안에서 태어나 13세 무렵 일개 사병으로 입대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10년 만에 부대장의 지위에 오를 정도로 뛰어난.. 더보기 유스티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 또는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는 527년부터 565년까지 로마 제국의 황제였다. 그의 업적은 정말로 다양하다. 그의 치세 동안 로마 제국은 군사, 정치,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전성기를 누렸다. 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침략을 막아내고 북아프리카의 반달 왕국을 공략하는 한편, 이탈리아의 동고트족을 무찔러 서로마 제국 몰락 후 게르만의 수중에 있던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를 되찾았다. 또한 로마법 대전을 편찬하고 성 소피아를 건축하는 등 많은 업적을 만들어냈다. 그는 중세 로마 제국의 가장 위대한 황제 가운데 한 사람으로 여겨지며 교회에 대한 열정과 헌신으로 동방정교회로부터 성인의 칭호와 함께 대제 칭호를 받았다. 유스티니아누스는 482년 다르다니아 타우레시움(오늘날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 더보기 이전 1 다음